본문 바로가기
건축인테리어

실내디자인 공간의 구체적 계획

by 알비노1 2024. 3. 26.
300x250

-실내디자인 공간의 구성요소 바닥

수평적 요소인 바닥은 인간의 활동 공간에서 공간의 표면을 에워싸며 공간을 분할하여 크기를 결정하고 동선을 유도합니다. 공간 규모에 따라 계단설치, 단을 만들거나 높이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사람을 지지해 주고 공간의 영역을 구분하는 바닥은 색이나 질감, 재료 등의 변화를 주어 강조되고 확실한 공간 구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 바닥의 종류

기준보다 높이가 있는 바닥, 기준보다 높이가 없는 바닥, 평평한 바닥, 경사진 바닥 등이 있습니다.

(2) 바닥의 계획

바닥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자의 니즈와 편의에 맞추어 다르게 계획합니다.

(3) 바닥의 재료

바닥재로 사용되는 주요 마감재는 딱딱한 재료의 목재, 석재, 점토 소성재(타일) 등이 있고, 탄력이 있는 재료로 합성수지제(장판), 섬유재(카펫)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실내 공간의 구성요소 벽

수직적 요소인 벽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형태와 규모를 결정합니다. 그렇기에 외부공간과 직접적 연결이 있는 외벽은 실내 온도를 보존(단열과 차음을 위한)하기 위한 벽으로 사용되며, 각 공간을 결정짓는 주변의 벽은 단열과 방음에 세심하게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벽은 실내공간의 요소에서 가장 눈에 띄기 쉬운 수직 요소이므로 액세서리, 조명의 비춤 등이 활용되어 벽면은 디자인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1) 벽의 종류

구조의 무게를 지지하는 내력벽과 하나의 공간에서 일부 영역을 나눌 수 있는 칸막이벽이 있습니다.

(2) 벽의 계획

내력벽은 두껍고 튼튼하여 프라이버시에 유리하나 고정되어 위치 변경은 어렵습니다. 칸막이벽은 높이에 따라 시선, 빛의 공유, 소음 차단에 영향이 있으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벽의 재료

벽의 재료로 사용되는 주요 마감재는 바닥의 재료와 비슷하며 목재, 석재, 타일(자기, 석기, 도기 등), 벽돌, 합성수지제, 콘크리트, 벽지(섬유 벽지, 종이 벽지, 비닐 벽지 등), 유리(투명, 회색, 브론즈 등의 착색 유리)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실내 공간의 구성요소 천장

수평적 요소인 천장은 바닥과 벽의 규모에 있어서 공간이 아닌 불분명한 영역은 천장과 바닥이 존재함으로써 수직적 규모는 완벽히 결정됩니다. 또한 음향, 냉난방, 방음 등의 설비로 인한 효과와 직접적인 연결이 있는 요소이며 천정면의 높이에 변화 및 차이를 두어 공간의 신성화 및 공간의 분리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1) 천장의 종류

높은 천장과 낮은 천장 그리고 평천장과 경사천장, 노출 천장, 그 외 독특한 형태의 돔 천장, 커브 천장, 피라미드 천장 등이 있습니다.

(2) 천장의 계획

높은 천장은 개방감, 확대 감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 보다 넓어 보이는 효과도 줄 수 있습니다. 낮은 천장은 친근하며 아늑해 보이는 장점이 있지만 답답해 보일 수 있는 단점도 있습니다. 천장 높이를 계획할 때는 실내공간의 전체적인 주제와 분위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천장은 쉽게 손이 닿지 않기 때문에 오염성과 흡음성, 단열성이 요구됩니다.

(3) 천장의 재료

천장의 재료로 사용되는 주요 마감재는 목재류, 연질 섬유질 판(텍스), 벽지류, 석고 보드, 플라스틱(투명, 반투명), 회반죽 등이 사용됩니다.

 

-실내 공간의 구성요소 개구부

개구부는 벽이나 바닥, 천장 등과 이어져 있으면서 일정 부분 뚫려있는 부분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창문이나 출입구와 같은 형태로서 실내공간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물리적 기능을 합니다.

 

(1) 개구부의 종류

문은 개폐 형식에 따라 자유 문, 미세기문, 미닫이문, 접이문, 회전문 등이 있으며 창문의 경우 고정식 창, 이동식 창 그리고 설치 위치에 따라 측창, 천창, 고창, 경사 창 등이 있습니다.

(2) 개구부의 계획

문의 위치는 동선을 결정하게 되며 이는 가구 배치에도 영향을 줍니다. 창은 빛의 시간과 빛의 강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전망과 프라이버시, 환기, 냉난방 등과 고려되어야 합니다.

(3) 개구부의 재료

개구부의 재료로 사용되는 주요 마감재는 목재, 철재, 알루미늄, 종이, 유리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