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인테리어20

창의력이 시작되려면 익숙함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말입니다. 이미 누군가 만든 것과 똑같은 공간을 만든다면 개성도 없고 차별성도 없어 그 공간에 대한 호기심도 생기지 않고, 그런 공간에는 누구도 찾아오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그레이스 호퍼는 “익숙함에서 벗어나 작은 도전을 할 때 우리의 믿음은 싹이 트고 기회가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미래의 가능성을 품고 사는 우리의 아이들을 위한 공간도 늘 그런 도전과 창의력의 모티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창의력이나 상상력을 발휘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풍부한 경험입니다. 무엇이든 처음 만든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둠을 밝히는 전기, 멀리 있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전화, 멀리까지 빠르게 갈 수 있는 자동차·비.. 2024. 2. 22.
색으로 아이들의 창의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사람은 약 700만 개의 서로 다른 색을 구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괴테는 “인간은 정보의 80%를 시각에 의존하고, 그 대부분은 색채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간의 오감 중 시각이 8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도 과장은 아닙니다.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색입니다. 색채는 청소년기의 아이들에게 성인이 되면서 필요한 감각을 발달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학교 건물에 사용된 재료나 색채를 보면 언제 지어졌는지, 언제 리모델링을 했는지를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벽돌색을 보면 건축 시기를 추정할 수 있듯이 그때그때 유행하는 재료나 색채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아연이라는 소재를 많이 사용하는데 그것도 전체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학교 건물 외관에.. 2024. 2. 21.
학교공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아이들을 위한 대부분의 교육은 학교에서 이루어집니다. 그런데도 학교라는 공간을 그저 공부하는 장소로만 여기지, 학교 공간 그 자체를 교육으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많습니다. 학교는 배우고 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체가 교과서이고 곧 교육입니다. 학교의 부지를 보면 운동장, 건물을 비롯해 창문, 교실, 책상, 칠판 등 모든 것이 네모납니다. 아이들의 특성과 성격이 모두 다르고, 꿈도 다른데 네모난 학교에 그런 아이들을 가둔 셈입니다. 물론 다른 건물들도 기본 틀은 네모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크기, 모양, 비율이 거의 동일한 네모는 아마 학교가 유일할 것입니다. 한국의 교육정책은 학교 폭력, 교육 개혁, 학교 폐쇄성, 학교 안전, 급식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계속 바뀌었습니다. 교육정책.. 2024. 2. 18.
아이들의 공부방 꾸며주기 아이들이 공부하는데 창밖, 화장실, 주방이나 거실에서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면 집중력이 저하되고 집중하는데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집 안에서 나는 소음은 바로 해결하도록 해야 합니다. 화장실 물소리, 에어컨 소리가 신경 쓰이면 방을 바꾸는 것도 방법입니다. 집 구조를 관찰하여 소음이 들리지 않는 방으로 바꾸면 됩니다. 소리가 크고 고음만 소음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소리가 작아도 지속시간이 길게 반복되면 소음입니다. 벽시계나 탁상시계의 똑딱거리는 소리는 불안한 마음에 들게 하고 아이의 집중을 방해합니다. 시험을 앞두고 있거나 신경이 예민한 상태에서는 더욱 영향을 끼칠 수도 있으니 무소음 시계로 바꾸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주파 소음도 없애야 합니다. 저주파 소음은 버스나 기차만 아니라 자주 사용하는 냉장.. 2024. 2. 18.